스포츠중계 짜릿한 순간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경험치 랭킹

[스포츠중계 좀비티비] 이정후 헬멧 매만지는 습관에 심판 '딴지'? 오해 속 해프닝 전말

컨텐츠 정보

본문

936f12dd3db2257390cb715b3f95673d_1744962795_1594.JPG


이정후 헬멧 매만지는 습관에 심판 '딴지'? 오해 속 해프닝 전말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가 경기 중 헬멧을 고쳐 쓰는 일상적인 모습이 심판의 오해를 사며 웃지 못할 해프닝으로 번졌습니다. 그동안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이정후의 습관에 갑작스럽게 제동이 걸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정후는 메이저리그 데뷔 초부터 머리 사이즈에 맞지 않는 헬멧 때문에 불편함을 겪어왔습니다. 이는 과거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활약했던 김하성 선수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서양인 체형에 맞춰 제작된 헬멧은 동양인 선수들에게 다소 커서, 이정후는 타석에서 스윙을 하거나 베이스를 향해 질주할 때마다 헬멧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주 헬멧을 매만져야 했습니다.



올 시즌 내내 이러한 모습은 익숙한 풍경이었고, 특별한 문제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18일(한국시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이정후의 헬멧 습관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이날 휴식을 위해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던 이정후는 팀이 4-6으로 뒤진 9회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대타로 타석에 들어섰습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헬멧을 만지작거리며 타석을 준비하던 이정후는 필라델피아 좌완 투수 호세 알바라도와의 풀카운트 승부 끝에 내야 안타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경기 종료 후, 주심을 맡았던 필 쿠지 심판이 샌프란시스코 더그아웃 터널로 찾아와 이정후와 통역을 통해 이야기를 나눈 것입니다.



미국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상황은 이렇습니다. 1볼 1스트라이크 상황에서 알바라도의 3구째 99.5마일 싱커가 낮은 스트라이크 존으로 향했고, 쿠지 심판은 스트라이크 콜을 외쳤습니다. 이때 이정후가 무심코 헬멧을 건드렸는데, 이 행동을 쿠지 심판이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한 챌린지 의사 표현으로 오해한 것입니다.


이정후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자이언츠 경기를 자주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투구 하나 할 때마다 헬멧을 고쳐쓴다. 매 투구마다 한다. 그래서 저는 영어를 못 한다고 말했고 주심이 계속 뭔가 말하길래 영어로 못한다고만 말했다. 그래서 벌어진 일이다"라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오늘 주심이 예민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런 상황이 생긴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심판진의 설명에 따르면, 올해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기간 동안 ABS(자동투구판독시스템) 챌린지 시범 운영 시, 선수들이 챌린지를 신청하는 제스처 중 하나가 헬멧을 두드리는 것이었습니다. 쿠지 심판은 이정후의 헬멧을 건드리는 행동을 이러한 챌린지 의도로 잘못 판단한 것입니다.



심판 조장이었던 댄 벨리노는 "시범경기 기간 동안 시범 운영했던 것과 관련한 것이다. 메이저리그에서 이제 선수들은 헬멧을 두드리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했다. 그건 스트라이크 볼 판정에 항의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판정 항의와 같은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물론 이정후가 실제로 항의를 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필 쿠지 주심은 ‘판정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머리를 두드리면 판정에 항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니 그렇게 하지 말라’고 말한 것이다. 하지만 언어 장벽이 있어서 이정후가 주심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 그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결국, 그동안 아무런 문제 없이 이어져 왔던 이정후의 헬멧 매만지는 습관이 메이저리그의 새로운 챌린지 규정과 맞물려 때아닌 오해를 불러일으킨 해프닝이었던 셈입니다. 이날 경기 중 격앙된 분위기 속에서 여러 상황을 겪었던 쿠지 심판의 다소 예민한 반응과 이정후의 언어적인 어려움이 겹쳐 벌어진 촌극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스포츠중계 좀비티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6 / 1 페이지
RSS
알림 0